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영화 추천 1987 줄거리 및 결말 <스포있음>

반응형

영화 추천 1987 

줄거리 및 결말 <스포 있음>

 

"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어? "

한 사람이 죽고,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영화 1987 은 1987 년 6월 항쟁의 시작을 그린 영화이다.

1987 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 박종철은 남영동에서 고문을 받다가 사망합니다. 간첩도 아니고 참고인으로 잡아 온 대학생이 고문을 당하다. 사망했다는 말은 대공수사처장 박처원(김윤석)에게 보고가 되고 " 보따리 하나 터진 거 가지고 소란 떨 거 있네? "라고 말하며 시신을 태우라고 지시한다. 관례대로 처리하려던 대공수사처의 계획은

사망 당일 당직이었던 최 검사(하정우)에 의해 어긋나기 시작합니다.

" 어떤 아버지가 서울대 다니는 아들. 시신도 확인도 안 하고 화장을 하라 그러나? "

고분고분하지 않은 최 검사는 시신 화장 요청을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입니다. 최검사 덕에 박종철 군은 부검을 받게 되고 일이 뜻 대도 진행이 되지 않자 치안 본부장은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하게 되고 발표를 이어가던 중 얼떨결에 목격자가 있음을 말하게 됩니다. 그의 말을 들은 동아일보 윤상삼(이희준) 기자는 놓치지 않고 목격자인 의사의 이름을 묻습니다.

당시 현장을 목격했던 오연상 박사는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들을 윤상삼 기자에게 진실을 털어놓게 됩니다.

"........... 물로 흥건했습니다 "

시신의 부검을 집도했던 황 적순 박사는 청와대에서 보낸 돈봉투를 거절하고 작성된 부검 확인서는 최검사의 손을 거쳐

윤 기자의 손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한편 정부에서 보도지침이 내려오고 동아일보 사회부장(고창석)은 이를 무시해버리고 이 사건은 마침내 기사화됩니다.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유해진)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에게 위험을 부탁하게 됩니다.

연희 아버지는 노동 운동에 투신했다가 희생만 당했던 아픈 과거를 갖고 있습니다. "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어요? 왜 그렇게 다들 잘났어 " 어느 날, 삼촌이 남영동에 끌려가게 되고 삼촌이 재야인사에게 전달되지 못한 쪽지를,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진실을 쥐게 되고 연희는 진실을 알리기로 결심하게 됩니다. " 마침내 비둘기가 날아왔습니다 "

모든 진실이 밝혀지게 되고 거기로 나온 용감한 이들은 시대를 고치기 위해 끝없이 희생당하게 됩니다.

악역의 치안본부 박처원 또한 단순히 절대악으로만 그려 놓지 않았습니다. 영화 1987에서 박처원 또한 깊은 상처를 가진 인물로 자신이 한 행동이 애국 행위라고 보고 단순히 공무 집행으로 여기며 나름의 확신을 가지고 저지른 행위였을 것이다. 마지막 순간에는 비참하게 버림받게 되지만, 박처원을 보며 어느 한 집단이 떠오르는 건, 나뿐이었을까

그 시대의 전경들 또한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입대한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그들을 서로 싸우게 만들었던, 최고의 권력자가 문제의 근원이었으리라. 그는 지금 어떠한가. 치매치료를 한답시고 골프장에 다니지 않는가? 나에게는 이미 지나버린 나이. 하지만 그들에겐 마지막이었던 한해. 20살 21살.... 어린 학생들이 죽음을 바라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영화를 보는 내내 울컥울컥 거리는 마음이 좀처럼 진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518 광주화 민주운동도 610 항쟁도 그때 받았던 상처와 아픔들은 아직 진행형이기 때문입니다. 2017년 세월호 유가족들이 518 묘역을 방문하였을 때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는 이런 말을 하셨습니다.

" 30년을 살다 보니, 살아온 것도 허무하고 이렇게 왜 살고 있나를 내가 나한테 물어보고 싶고 괴롭습니다. 세월이 간다고 잊힌 것도 아니고 없어진 것도 아니고 어딘가 모르게 끌려갑니다. 당해 보지 않으면 모른다고 했는데 3년이 지난 여러분은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 걱정이 됩니다. 누군가가 죽은 이한열이 불쌍한 것이 아니라 세상을 짊어지고 살아갈 어머니가 불쌍하다고 합디다. 죽은 사람은 모른다고 합니다. 아무것도 모른대요. 와서 불러도 몰라요. 말도 없어요 "
반응형